자연주의 화가인 프랑스의
장 프랑소아 밀레 는
우리들에게도 너무 친숙한 그림으로
옛날 이발소 마다 걸려있어
이 그림이 명작인지 아닌지 사람들은 구별이 어려웠었다.
이 그림에도 애틋한 사연이 있어 나의 가슴을 아프게 하고
사실인지 아닌지는 차치하고
가난한 농부의 삶으로 해서 화가의 삶을 대변하는 것은 아닐런지.....
1857 년
저녁노을이 지는 들녘에서 한 농부 부부가 고개를 숙인 채
기도를 하고 있다.
캐다가 만 감자가 바닥에 흩어져 있고
멀리 보이는 교회당이 정지된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준다.
장 프랑수아 밀레가 그린
명화 '만종(晩鍾)'은
프랑스의 자랑이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백화점 소유주였던 알프레드 쇼사르가 80만 프랑에
이 작품을 구입 해
루브르 박물관에 기증한 후
한 번도 거래된 적이 없었던
'만종'은
값을 매긴다는 게 불가능한 보물이다.
그러나 작품이 처음 만들어진 1860년 당시 밀레는
물감을 살 돈조차 없는 가난 한 화가에 불과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화상 아르투르 스테반스가 그림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1000프랑을 지원한다.
이 1000프랑으로 탄생한 그림이 바로 ' 만종'이다.
이렇게 탄생한 만종은 100년 만에
80만 프랑 값어치를 얻었고
그로부터 또 100년이
지난 지금 프랑스의 자존심이자
전 세계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보물이 됐다.
1000프랑을 지원한 것이 국부(國富)를 일구어낸 것이다.
루브르에 돌아오기 전
'만종'은
미국 아메리카 미술협회에 팔렸다.
프랑스 측은 국회와 행정부는 물론 모금활동까지 벌여가며
'만종'이
미국에 팔리는 것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부자나라 미국을 당할 수는 없었다.
프랑스가 자존심이 상한 채 주저앉아 있을 무렵
백화점 재벌
알프레드 쇼사르가
미국에 엄청난 대가를 지불하고 '만종' 을 다시 사들인 것이다.
쇼사르는
이 그림을 개인 자격으로 소유하지 않고
루브르에 기증했다.
예술의 가치를 알아본
쇼사르가 없었다면
'만종'은 지금쯤 미국 어느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을 것이다.
이 그림은
'이삭줍기'와 더불어 많이 알려진 그림 중 하나다.
그림을 보면
하루 일을 마치고 농부 부부가 교회종소리를 들으며
기도하는 평화로운
그림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 그림에는 슬픈 이야기가 숨어있다.
농부 부부가 바구니를 밭 밑에 놓고 기도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그 바구니가 감자씨와
밭일도구를 담은 바구니로 알고 있다.
그런데 사실은
그 바구니에는 씨감자가 들어있던 게 아니라 그들의 사랑하는 아기의 시체가 들어있다.
그 시대 배고픔을 참고 씨감자를 심으며
겨울을 지내면서 봄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아기는 배고픔을 참지 못해 죽은 것이다.
죽은 아기를 위해 마지막으로 부부가 기도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 '만종'이다.
왜 그림 속의 아기가 사라졌을까?
이 그림을 보게된 밀레의 친구가
큰 충격과 우려를 보이며 아기를 넣지 말자고 부탁을 했다.
그래서 밀레는
고심 끝에 아기 대신 감자를 넣어 그려 출품했다.
그 이후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은 채 그저 농촌의 평화로움을 담고 있는 그림으로 유명해졌다.
살바도로 달리는 정말 달랐다.
밀레의 <만종>을 보면 누구라도 신성한 노동 후의 고요한 정적과 평화를 느낄 것이다.
그러나
이 그림을 보고 꼬마 달리는 알 수 없는 불안감을 맛보았다.
그 불안감이 얼마나 집요하게 그의 뇌리에 들러붙었는지
달리는 오랫동안 그 까닭을
알아내려 했고, 그에 관한 책을 쓰기까지 했다.
그는
밀레의 <만종>에
그려진 감자자루를 어린아이의 관으로 보고 이루 말할 수 없는
불안을 느꼈던 것이다.
수십 년 후,
이러한 그의 투시력은 환각이 아니라
실제로 정확한 관찰이었음이 밝혀졌다.
루브르 미술관이 자외선 투사작업을 통해
그 감자자루가 초벌그림에서는 실제로 어린아이의 관이었음을 입증한 것이다.
현실 생활에는
서툴렀지만 그럴수록 더욱 더 삶에 대한 투시력을 갖게 되었다는
그의 고백은 진실이었던 것이다.
<이의일/세종정보기술 부회장>
'취미 > 영화,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위키리 이한필 가수 MC, 배우 노래 눈물을 감추고 (0) | 2015.01.27 |
---|---|
빈센트 반 고흐 20150121 (0) | 2015.01.22 |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진모영 감독 (0) | 2014.12.15 |
TV영상과 고전음악 (0) | 2014.11.08 |
lady (0) | 201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