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영화,음악

빈센트 반 고흐 20150121

應觀 2015. 1. 22. 20:04

 

 

            빈센트 반 고흐

                       세계 미술사에 지울 수 없는 족적을 남긴 위대한 화가

                       성직자와 화가 두 가지길에서 갈등하던 반 고흐가 동생 테오의

                       제안으로 붓을 잡기 시작한 시기부터 정신 발작으로 들판에서

                       자살로 마감할 때까지 짧고 강렬했던 '

                       "10년간 반 고흐의 이야기"는 300여점에 달하는 이미지를 통해

                       우리들의 감성을 두드립니다.삶을 그린다 보다는 "담는다"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반 고흐의 작품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되새기게 만들고 우리의 삶을 조금

                       다른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힘이 있읍니다.

                       태양을 향해 꽃잎을 한껏 열어젖힌 해바라기처럼,

                       마음을 보듬는  따뜻함을 가득품은 반 고흐의 작품은 그의 삶처럼

                       강렬했고 ,짙고 깊었읍니다.삶의 고단함, 뜨거움,환희 등이 표현된 

                       그의 그림과 함께 하는 순간,우리는 어느새 같은 감정을 공유하게 될 것입니다.

                             그는 1853년 3월 3일 네덜란드의 브라반트 지방의 한 가난한 마을 그로트 춘데르트(Groot Zundert)에서 태어났다.

                             16세 때에 백부의 소개로 하아그에 있는 화구상의 점원이 되어 그림과 인연을 맺게 된다.

                             그러다가 목사의 아들이라는 가정 환경의 영향과 “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사랑이 사라지는 것을

                             두려워 하는”(고흐 자신의 말) 종교적 정열에 불타 단기 목사 양성소를 졸업하고 전도사가 되어,

                             한때 벨기에에서도 가장 비참한 탄광촌인 보리나쥬를 무대로 헌신적인 전도에 몰두한다.

 

                             그러나 화가로서의 천부의 재질(현재 남아 있는 그의 최초 데생은 9세 때의 것이다.)을 숨길 수 없었던 고흐는

                             화가가 되기를 결심한(1880년) 후, 브뤼셀을 거쳐 1881년 봄에 에텐의 부모 곁으로 돌아온다.

                             그 무렵 사촌뻘 되는 케이 포스에게 구혼했다가 깊은 사랑의 상처를 입고 집을 뛰쳐나온 그는 헤이그에서

                             그림 공부를 계속한다.

 

                             그 곳에서 우연히 밤거리의 창녀 크리스틴을 만나게 되는데, 그녀를 모델로 해서 그린 누드 데생 <슬픔>은

                             “버림받은 인간에 대한 애절한 공감”을 표현한 매우 감동적인 작품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1883년 말경부터 1885년 11월 파리로 떠나기까지 약 2년 동안 그는 무려 유화 2백 점, 데생 2백50점을 남기는

                             본격적이며 열띤 작품 제작에 몰두한다. 이른바 ‘네덜란드 시대’의 대표작으로 알려져 있는 <감자를 먹는 사람들>은

                             이 시기에 그려진 고흐의 리얼리즘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후 파리에서 화상으로서의 기반을 갖고 있던 동생 테오도르의 도움으로 코르몽 화실에 출입하면서

                             툴루즈 로트렉·피사로·드가·쇠라·고갱 등의 인상파 화가들과 친교를 맺게 된다. 이 인상파의 영향을 받아

                             이전의 어두운 화면이 갑자기 점묘풍(點描風)의 밝은 색채로 바뀌게 되고, 1888년 2월 남프랑스의 아를르로

                             옮겨간 뒤부터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해 나간다. <해변의 작은 배> <해바라기> <아를르의 카페> 등은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그 해 10월, 고갱이 와서 공동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견해와 작풍이 판이하게 서로 달랐던 두 사람은

                             잦은 성격의 충돌로 상호간의 우정이 깨어져, 마침내 고흐가 면도칼을 휘두르며 고갱을 죽이려고 쫓다가

                             오히려 자기의 귀를 잘라버리는 어처구니 없는 소동을 벌인다. 

                             아무튼 이 ‘귀 자르기 사건’을 계기로 고흐와 고갱은 헤어지게 되고 그 후 신경증의 발작 증세가 악화되어 아를르의

                            시립병원을 거쳐, 1889년 5월 생 레미에 있는 생 폴 요양원에 들어가게 된다. 요양 생활을 하면서도 작품 제작에

                            왕성한 의욕을 보여 <버드나무가 있는 보리밭> <추수> <별과 달이 있는 밤> <병원의 안뜰> 등 1백50여 점을 그렸다.

                            그는 생 폴 요양원으로부터 야외 제작을 때때로 허가받기는 했으나 점점 그 곳이 견딜 수 없는 감옥으로 느껴졌고,

                            그래서 사랑하는 동생 테오가 있는 파리, 꼭 파리가 아니더라도 그 근방의 시골로 자리를 옮기고 싶어했다.

                            그리하여 마침내 고흐는 파리 북쪽 34킬로미터 떨어진 조용한 시골 마을 오베르 쉬르 우와즈(Auver Sur Oise)에

                            사는 의사 가셰 박사의 손에 넘겨지게 된다.

 

                            그러나 고흐는 <까마귀가 나는 보리밭>이 완성된 지 얼마 안되는 1890년 7월 27일 오후, 오베르 성에 올라가

                            끝없이 펼쳐진 보리밭을 보면서 자신의 가슴에다 권총을 겨누었다. 그리고 이틀이 지난 뒤 “아 내 작품들, …

                            난 거기에 내 인생을 걸었었지. … 그러다가 내 정신이 거의 다 결딴났어. … 테오, 난 지금 죽었으면 좋겠구나”

                            (어빙 스톤, 《빈센트 반 고흐》라고 나직하게 중얼거리다 두 눈을 영원히 감았다.
                            여러 차례에 걸친 신경증의 발작과 요양 생활, 특히 ‘귀 자르기 사건’과 ‘권총 자살’로 마감한 고흐의 비극적

                            생애에 대해서, 범속한 ‘정상인’들은 한편의 광인의 드라마쯤으로 쉽사리 간주해 버린다. 그리고 동생 테오와

                            가셰 박사의 헌신적인 보살핌이 없었던들 광인인 반 고흐가 그 많은 작품들을 제작할 수 없었으리라 단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