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서예와주역

주역은어떤책인가?

應觀 2013. 10. 6. 17:07

1. 주역은 어떤 책인가?

 

일반적으로 역(易)이라 함은 사서삼경(四書三經 : 대학, 중용, 논어, 맹자. 시경, 서경, 역경) 가운데 하나인 역경(易經), 즉 주역(周易)을 말한다. 

 

주(周)는 중국 왕조의 명칭이고, 역(易)은 책 이름이니 주역(周易)이라 함은 그대로 주나라 때의 역이라는 뜻이다.

 

주역에는 두 가지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즉 상수학파(象數學派)와 의리학파(義理學派)로 나누고 있다. 

 

상수학파(象數學派)는 주역이 천하 만물의 변화법칙을 담고 있으며 점(占)을 통해 미래를 예지하고 이치에 통달하여 처신에 변통(變通)을 꾀할 수 있다고 보는 점서(占書)으로 보는 것. 

 

의리학파(義理學派)는 주역이 천지자연의 운행과 역사의 변화원리를 밝히는데 있다고 보아, 그 속에서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교훈을 끌어내려는 도덕 철학의 책(哲學書)으로 보는 것. 

 

주역 계사전(繫辭傳) 제 2장에 성인(聖人)이 역(易)을 만든 의도(意圖)와 배우는 이상적인 방법을 설(說)한 것이 있으니 이는 주역을 접하려는 자의 기본 태도이다.

 

"君子所居而安者. 易之序也. 所樂而玩者. 爻之辭也. 是故. 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 動則觀其辨而玩其占. 是以自天佑之. 吉无不利." 

( 군자소거이안자. 역지서야. 소락이완자. 효지사야. 시고. 군자거즉관기상이완기사. 동즉관기변이완기점. 시이자천우지. 길무불리.)

 

해석: "군자가 편안히 거처할 때에는 상을 관찰하여 그 말뜻을 세기고, 움직일 때에는 그 변화를 관찰해서 그 점(占)의 의미를 완미(玩味)하나니, 이로써 하늘이 도와서 이롭지 아니함이 없다"고 했다. 

 

주역이 철학서임과 동시에 미래예지를 주는 매개체로서의 점술서이니 양면성을 보이나, 이 또한 음양조화라는 주역의 기본과 상통한다.

'공부 > 서예와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예 조인선 선생님 서예전  (0) 2013.11.14
주역의 기초  (0) 2013.10.14
주역의체계  (0) 2013.10.06
주역을하는목적-1  (0) 2013.10.06
주역을하는목적  (0) 201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