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서예와주역

주역의 기초

應觀 2013. 10. 14. 19:58

팔궁(八宮)과 64괘

주역의 64괘는 기본 팔괘를 모체로 하여 8개의 궁(宮)으로 각각 분류한다.

팔궁은 각 기본 8괘를 수괘(首卦- 우두머리 괘)로 시작하여 나머지 7개씩의 괘가 배치된다.

그리고 각 8개의 궁마다 고유한 오행(五行)이 부여되는데 마치 8명의 부하를 거느린 8명의 장수들에게 부여되는 부대의 깃발과 같다.

木火土金水의 오행은 각 8궁을 대표하는 오행이 되며, 같은 궁에 소속된 괘들은 모두 같은 오행을 부여받는다.

乾궁은 양(陽)이며 金이다.
兌궁은 음(陰)이며 金이다
離궁은 음(陰)이며 火다
震궁은 양(陽)이며 木이다.
巽궁은 음(陰)이며 木이다
坎궁은 양(陽)이며 水다.
艮궁은 양(陽)이며 土다.
坤궁은 음(陰)이며 土다

8궁에 소속되는 8괘의 이름

乾宮 - 양금(陽金)
건 구 돈 비 관 박 진 대유

兌宮 - 음금(陰金)
태 곤 췌 함 건 겸 소과 귀매

離宮 - 화(火)
리 려 鼎(정) 미제 몽 환 송 동인

震宮 - 양목(陽木)
진 예 해 항 승 井(정) 대과 隨(수)

巽宮 - 음목(陰木)
손 소축 가인 익 무망 서합 이 고

坎宮 - 수(水)
감 절 둔 기제 혁 풍 명이 사

艮宮 - 양토(陽土)
간 비 대축 손 규 리 중부 점

坤宮 - 음토(陰土)
곤 복 림 태 대장 쾌 需(수) 비


중천건→천풍구→천산돈→천지비→풍지관→산지박→화지진→화천대유

중택태→택수곤→택지췌→택산함→수산건→지산겸→뇌산소과→뇌택귀매

중화리→화산려→화풍정→화수미제→산수몽→풍수환→천수송→천화동인

중뢰진→뇌지예→뇌수해→뇌풍항→지풍승→수풍정→택풍대과→택뢰수

중풍손→풍천소축→풍화가인→풍뢰익→천뢰무망→화뢰서합→산뢰이→산풍고

중수감→수택절→수뢰둔→수화기제→택화혁→뇌화풍→지화명이→지수사

중산간→산화비→산천대축→산택손→화택규→천택리→풍택중부→풍산점

중지곤→지뢰복→지택림→지천태→뇌천대장→택천쾌→수천수→수지비

 

괘의 납갑법(納甲法)

주역 64괘의 여섯효 마다에 오행을 배속하는 것으로 이것을 운천갑자(運天甲子) 혹은 납갑법(納甲法)이라고 한다.

납갑법이란 육십갑자를 기본 팔괘의 여섯효에 배치시키는 규칙이다.

모든 납갑은 초효에서부터 상효를 향해 순서대로 배속되는데, 陽괘는 子寅辰 午申戌의 순행하는 순서로 붙여나가며, 陰괘는 丑亥酉 未巳卯의 역행하는 순서로 붙여 나간다.

하괘(內卦) 상괘(外卦)

乾천 자인진 오신술
震뇌 자인진 오신술
坎수 인진오 신술자
艮산 진오신 술자인

坤지 미사묘 축해유
巽풍 축해유 미사묘
離화 묘축해 유미사
兌택 사묘축 해유미

 

하도 낙서

 

 팔괘 쉽게 외우는 방법

건삼련(乾三連) : 건괘는 3개의 효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모두 양이므로 아버지

태상절(兌上絶) : 태괘는 제일 위 효가 떨어졌다. 세 번째가 음이므로 소녀

이허중(離虛中) : 이괘는 가운데 효가 떨어져 허하다. 가운데가 음이므로 중녀

진하련(震下連) : 진괘는 제일 아래 효만 연결되어 있다. 처음이 양이므로 장남

손하절(巽下絶) : 손괘는 제일 아래 효가 떨어져 있다. 처음이 음이므로 장녀

감중련(坎中連) : 감괘는 가운데 효만 연결되어 있다. 가운데가 양이므로 중남

간상련(艮上連) : 간괘는 제일 위 효만 연결되어 있다. 세 번째가 양이므로 소남

곤삼절(坤三絶) : 곤괘는 3개의 효 모두 떨어져 있다. 모두 음이므로 어머니

 

오행의 10천간 12지지의 배속

木 - 甲乙 寅卯
火 - 丙丁 巳午
土 - 戊己 辰戌丑未
金 - 庚辛 申酉
水 - 壬癸 亥子

 

지지의 육합 육충 삼합 (六合 六冲 三合)

육합

子丑합 寅亥합 卯戌합 辰酉합 巳申합 午未합

육충

子午충 丑未충 寅申충 卯酉충 辰戌충 巳亥충

삼합

申子辰은 모여서 水국
巳酉丑은 모여서 金국
寅午戌은 모여서 火국
亥卯未는 모여서 木국을 이룬다

 

육갑 순공망(六甲 旬空亡)

甲子순은 戌亥가 공망이며
甲寅순은 子丑이 공망이며
甲辰순은 寅卯가 공망이며
甲午순은 辰巳가 공망이며
甲申순은 午未가 공망이며
甲戌순은 申酉가 공망이다

 

팔괘의 상징

 64괘 차서가

상경

乾坤屯蒙需訟師,
比小畜兮履泰否
同人大有謙豫隨,
蠱臨觀兮噬嗑賁
剝復无妄大畜頤,
大過坎離三十備

하경

咸恒遯兮及大壯,
晋與明夷家人睽
蹇解損益夬姤萃,
升困井革鼎震繼
艮漸歸妹豊旅巽,
兌渙節兮中孚至
小過旣濟兼未濟,
是爲下經三十四

 

'공부 > 서예와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반 종강 기념사진(12.19)  (0) 2013.12.22
서예 조인선 선생님 서예전  (0) 2013.11.14
주역은어떤책인가?  (0) 2013.10.06
주역의체계  (0) 2013.10.06
주역을하는목적-1  (0) 201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