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
동결견(오십견.)이란 특별한 외상 없이 어깨에 통증이 동반되고 그 통증으로 인하여 어깨의 움직임에 지장을 받는 증상을 말합니다.
-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주로 노화와 운동부족이며 노화에 따른 어깨관절 주위 연부조직의 퇴행성 변화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 밖에 어깨 관절의 부상이나 깁스를 풀고 난 후 또는 입원 등으로 장기간 어깨 관절을 사용하지 못한 후에도 발생되며, 어떤 경우에는 원인 없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증상
-
동결견의 증상
- 심한 통증
- 야간 통증 : 다른 어깨 질환에서도 보이기 때문에 동결견에서 보이는 특이한 증세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 능동적, 수동적 관절 운동 제한 : 처음에는 어깨를 안쪽으로 돌리기 힘들어하고, 이후 팔을 앞으로 들기 힘들거나 밖으로 돌리기도 힘들어합니다.
(예 : 세수나 머리를 감을 때 뒷목을 만지지 못하거나, 머리를 빗기가 어렵고, 블라우스 뒤의 단추를 끼우기 등이 힘듦.)동결견은 증상 발현 기간 및 양상에 따라 3기로 나눕니다.
1) 제1기( 통증기)
- 최초 증상으로부터 약 3개월까지 지속됩니다.
- 점차 통증이 증가하여 스스로 어깨를 움직이는 능동적 관절 운동의 제한이 있습니다.
- 움직이지 않을 때에도 통증을 호소합니다.
2) 제2기(동결기)
- 3개월에서부터 12개월까지 기간을 말합니다.
-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의 통증은 완화됩니다.
- 만성 통증과 함께 실제적으로 수동적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됩니다.
3) 제3기
- 12개월에서 18개월 또는 그 이상의 기간을 말합니다.
- 통증은 아주 경미해지고 관절 운동과 관련될 경우에 나타납니다.
- 실제로 환자 스스로가 심하게 제한된 관절 범위를 극복하려는 시점에서 통증을 느낍니다.
- 이 기간의 말기에는 통증 없이도 관절 운동의 범위가 늘어남을 느끼는데 객관적인 운동 범위의 완전 회복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 진단
-
진단은 임상증상이나 간단한 운동 검사 등 의사의 진찰로 이루어지며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는 대부분 정상소견을 보입니다. 오십견을 진단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어깨관절 연골의 소실이나 견관절의 탈구 등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오십견이 있다고 해서 모두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치료
-
초기에는 진통소염제나 국소주사, 물리치료 등으로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며, 운동요법으로 굳어진 어깨관절의 운동 범위를 회복시킵니다. 수술은 장기간의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하게 됩니다.
오십견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1. 테니스, 수영, 야구 등과 같은 운동을 반복적으로 하여 어깨를 움직여서 오는 경우
- 소염제의 복용, 냉찜질이나 온찜질, 전기자극을 합니다. 어깨관절을 과도하게 바깥으로 올리거나 돌리는 운동을 피하고, 어깨를 돌리는 근육을 강화시키는 강화운동을 합니다.
2. 힘줄의 석회화에 의하여 오는 경우
- 냉찜질, 소염재의 복용, 리도카인과 스테로이드를 혼합한 병변부위에 주사를 놓는 등의 치료가 있으며, 통증이 감소되면 관절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범위 내의 운동을 하여야 합니다.
3. 관절주머니의 유착에 의하여 오는 경우
- 온열요법, 수동적으로나 능동적으로 적당한 범위 내의 어깨운동, 목, 어깨의 등척성 강화훈련과 초기에 시계추 운동과 손가락 벽 기어오르기 운동이 효과적입니다.(시계추 운동 : 선 상태에서 얼굴을 바닥을 향하게 하고 아픈 팔을 늘어뜨립니다. 그런 다음 시계추처럼 왔다 갔다 하면 됩니다.)오십견은 지속적인 치료로 얼마든지 좋아질 수 있는 병입니다. 그러나 회복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진찰과 꾸준한 운동요법 등을 통해 지속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음글 > 건강과 기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 300가지 주요 효능 총 정리 (0) | 2014.11.20 |
---|---|
ending note (0) | 2014.11.05 |
건강과 기쁨과 행복 (0) | 2014.10.12 |
제12회 폐의날 codp치료와예방을 위한 걷기대회 (0) | 2014.10.10 |
무지외반증(拇趾外反症) (0) | 201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