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말꽃들의 나무"
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9jRuZkFfvQk
이규항 아나운서 AUDIO BOOK 말꽃들의 나무
이규항 아나운서 낭송으로 엮어진
무겁고 힘든 삶의 무게를 이겨내고 싶을 때
듣는 힐링 오디오북 '말꽃들의 나무' 김기호의
아름답고 정겨운 음악이 함께 흐른다. 지난세기 최고
미성이라던 장기범 아나운서의 방송기법을 이어받아
아름답고 정겨운 목소리로 KBS 남산시절 심야방송
'고요한 밤에' 등 프로그램으로 인기를 모았던 이규항
아나운서가 일생동안 읽고, 보고 , 듣고 또 낭송했던
동서 고금의 명언을 모아 새롭게 구성한 '말꽃들의
나무' 1시간 33분간 아름답고 정겨운 낭송과
음악으로 이어진다. 다음은 이규항
아나운서 친필 글이다.
이규항 아나운서가 쓴 머리 글
20세기가 지식과 과학의 세계였다면
21세기는 지혜와 문화의 세계라고도 합니다.
지식을 가진 사람은 많지만 지혜를 가진 사람은
만나기가 어렵습니다. 권세가 있다고 해서 재물이
넉넉하다고 해서 잘사는 것도 아닙니다.
지혜만이 우리들에게 행복의 열쇄를
쥐어줍니다. 지금 들으시는 한마디의 말이
하루 종일 당신의 귀에 맴돌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니면 당신의 친구나 스승이 될지도 모릅니다. 여기
동서양과 국내외 인생의 선배들이 들려주는 삶과 죽음
사랑과 이별, 고독과 우정 등에 관한 보석 같은 말꽃들이
피어있는 나무’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 느낌들은
인생을 자기가 아는 만큼 사랑하는 만큼
다른 색갈로 받아 올 것입니다.
가수이기도 했던 이규항 아나운서는
'네잎 크로바' 등 주옥같은 노래와 함께
천주교 신자로 글이 좋아 불교에 낭송보시한
석성우 스님의 명상어록 '마음이 향기' 등이
있어 춘하추동방송에 올라 있습니다.
조부성 선생님 글
이 동영상을 들으며 60년
세월이 흐른 옛 이야기가 떠오른다.
고려대학교 학생 이규항이 무슨 일로이었는지는
잘 몰라도 방송국을 자주 드나들던 때였다. 그 시절
축구 연·고전이 처음 실시되었다. 나는 연대를 담당
했고 동료 프로듀서 박종민은 고대를 담당했다.
이때 뜻하지 않은 큰 일이 생겼다.
'연·고전'이라는 명칭을 놓고
고대에서 크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방송국에서는 우여곡절 끝에 방송 중계맨트를
연 · 고전, 고 · 연전으로 번갈아 사용하기로 해서
가까스로 넘겼지만 연 · 고전, 고 · 연전은 두고두고
화제가 되었다. 그시절 방송국에 드나들던 이규항이
어느날 방송국에서 노래를 불렀다. 그때까지는 그저
드나들던 얼굴만 보았는데 노래를 부르면서
이규항이라는 이름을 알았다. 그리고 나서 얼마
안 있다가 1961년 방송국 아나운서가 되어
자주 만났다. 세월의 무상함 속에
그때 일이 생생히 떠 오른다.
장승중선생님 글
이규항 아나운서는 50년전
저의 결혼식 사회를 보아준 인연이
있습니다. 오늘 이규항 아나운서의
목소리를 들으니 반갑기 그지 없습니다.
이규항 아나운서가 유도계에서 활동 한다는
얘기는 종종 들었지만 궁금하던 차에
반가운 음성을 들었습니다.
관련글 보기 영문자 클릭
마음의 향기 (전편) 석성우 스님(대종사) 명상어록,
http://blog.daum.net/jc21th/17782879
마음의 향기 후편
http://blog.daum.net/jc21th/17782880
이규항 이장우 김승한 3인 아나운서 이야기 이세진 이계진
http://blog.daum.net/jc21th/17782600
KBS 남산방송국의 추억, 이규항 이팔웅 아나운서 (현장탐방 동영상)
http://blog.daum.net/jc21th/17782782
네잎크로바 이규항아나운서 노래 이인선작사 김영종작곡
http://blog.daum.net/jc21th/17782798
KBS 아나운서출신 가수 이규항의 꿈의 그림자
출처 : 춘하추동방송
글쓴이 : 이장춘 원글보기
메모 :
'모음글 > 내가좋아하는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춘시 모음 (0) | 2017.10.31 |
---|---|
[스크랩] 모정의 세월 (0) | 2017.06.12 |
알아두면 좋은 필수정보 생활팁 40가지 (0) | 2017.04.07 |
100歲 時代의 건강 노하우 (0) | 2017.03.28 |
행복(幸福)한 노후(老後)를 위한 좋은 습관(習慣) (0) | 201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