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건 신부 동상앞은이성지 김가항성당은 한국인 첫 사제 김대건 신부가 1845년 사제서품을 받은 상징적 장소이고 조선 내 천주교 확산의 계기가 된 한국 교회사의 중요한 건축물이다. 원 건물의 구조재 일부를 재사용하여 원형 회복 및 역사성 회복에 주안점을 두고 건립하였다. 성당이 위치한 은이성지는 김대건 신부가 세례를 받은 곳이고 사제서품 이후 사목활동을 했던 장소이다'은이'는 숨어 있는 동네라는 뜻으로, 천주교 박해 시기에 숨어 살던 천주교 신자들에 의해 형성된 교우촌이다. 산으로 둘러싸여 조용하고 한적한 성지로 김대건신부 관련된 기념관, 조각상 등이 있다. 「청년 김대건길」 은 용인 은이성지에서 안성 미리내성지로 이어지는 10.3km(4시간 소요) 산책 길로 시원하게 흐르는 은이계곡을 시작으로 울창하게 우거진 숲길을 걸으며 일상에 지친 마음 속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길이다
마애불상으로 문수보살님과보현보살님이시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마애불. 보살상. 시도유형문화재. 내용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0호. 높이 각 2.7m. 문수산 정상 가까이에는 절터의 건물지로 추정되는 장소가 있다. 그리고 그곳에서 능선을 따라 50m가량 더 올라가면 마애보살입상 2구가 있다.마애보살입상은 높이가 약 3.5m 정도 되는 두 개의 암벽에 각 1구씩 양각(陽刻)주 01)으로 새겼는데 서로 대칭을 이룬다. 이 가운데 좌측[向左]의 보살상은 우측[向右]의 보살상에 비해 조각의 높이가 낮으며, 선각(線刻)주 02)으로 새겨 형태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우선 좌측 보살상의 세부 표현을 살펴보면, 머리에 보관(寶冠)을 썼을 것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형태가 분명하지 않다. 그 아래 네모난 얼굴에는 긴 눈과 코, 입이 비교적 단정한 모습이다.목은 짧아 어깨와 거의 붙었지만 굵은 삼도(三道)가 있고, 직각에 가까운 어깨 위에는 아무것도 걸치지 않았다. 오른손은 옆으로 내려 자연스럽게 펴고 있으며, 왼손은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가슴까지 올리고 있다. 양 팔목에는 팔찌가 있으며 잘록한 허리에는 치마인 군(裙)의 띠 매듭이 보인다.우측의 보살상은 좌측 보살상과 서로 대칭이다. 다만 얼굴 부분이 좌측에 비해 높게 조각되어 있어 양감(量感)이 돋보인다는 점, 보관을 쓰지 않고 소발(素髮)로 표현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마치 부은 듯한 눈은 귀에 닿을 듯이 양옆으로 길다. 그리고 눈썹에서부터 코에 이르기까지는 활 모양의 선으로 이어져 있다. 적당한 크기의 입술에는 입가에 미소를 머금고 있다. 상체에는 역시 아무것도 걸치지 않고 있다. 치마 역시 좌측의 보살상과 동일하여 두 보살상은 같은 시기, 같은 조각가에 의해 조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두 보살상은 소박하고 정감 넘치는 얼굴 모습과 굴곡진 허리 등의 표현이 돋보인다. 신체에 비해 머리와 손, 발이 다소 크고 신체 각 부분의 표현에서 도식화가 엿보이는 점 등으로 미루어 고려시대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한다.이처럼 주존불(主尊佛)이 없이 보살상 2구 만을 서로 대칭으로 새기고 있는 경우는 드문 예로 원래 중앙에 입체의 불상이 조성되어 있었는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문수산 마애보살상(文殊山磨崖菩薩像))]연꽃마을로 규모가 굉장히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