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성품 보고 대자유인 됐으면” 당부
전국 102개 선원 2186명 스님 안거 마쳐
오는 22일 을미년 동안거 해제일을 앞두고 조계종 진제 종정예하가 “세월은 쏜 화살보다 빠르고 손가락을 퉁기는 것보다 빠르니 인생도 또한 그러해 어느 결에 팔십이 되어 병고가 닥치고 죽음에 이르게 된다”며 “그때는 누구라도 후회하지 않는 이가 없으니 대중 모두는 자신의 상황이 어떠한지 살피고 살펴야 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정진을 당부했다.
진제 종정예하는 동안거 해제 법어를 통해 “수행하는 이들은 세속의 즐거움은 뒤로하고 감상적인 정리(情理)는 멀리해 오직 끝없이 반복되는 이 생사윤회를 벗어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종정예하는 “참선은 좌복에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가고 오고하는 일상생활 가운데, 각자의 일을 하는 가운데에 ‘부모에게 나기 전에 어떤 것이 참나인가’ 이 화두를 챙기고 의심하고 챙기고 의심하여 하루에도 천번 만번 하다보면 화두가 무르익어 몰록 진의심에 들게 된다”고 당부했다.
한편 종단 전국선원수좌회에서 전국 선원의 정진대중 현황을 정리한 <을미년 동안거 선사방함록>에 따르면 전국 102개 선원(총림 8곳, 비구선원 59곳, 비구니선원 35곳)에서 총 2186명(총림 307명, 비구 1129명, 비구니 750명)의 대중이 안거에 들어 용맹 정진했다.
안거(安居)란 동절기 3개월(음력 10월 보름에서 차년도 정월 보름까지)과 하절기 3개월 (음력 4월 보름에서 7월 보름까지)씩 전국의 스님들이 외부와의 출입을 일체 끊고 참선수행에 전념하는 것으로, 수행자들이 일정한 기간 동안 한 곳에 모여 외출을 삼가고 정진하는 것을 뜻한다.
안거는 산스크리트어 바르사바사(vrsvs)의 역어로, 인도의 우기(雨期)는 대략 4개월가량인데, 그 중 3개월 동안 외출을 금하고 정사(精舍)나 동굴 등에서 수행했다. 우기에는 비 때문에 유행하는 수행이 곤란하고, 또 초목과 벌레 등이 번성해지는 시기이므로 모든 생명의 가치를 존중하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우기 중에는 지거수행(止居修行)을 하도록 규정한 것이 안거의 기원이다.
다음은 진제 종정예하 동안거 해제 법어 전문.
乙未年 冬安居 解制 法語 大韓佛敎曹溪宗 宗正 眞際
크게는 사계(沙界)를 포용함이나, 있음이 아님이요
수행하는 이들은 세속의 즐거움은 뒤로하고 감상적인 정리(情理)는 멀리해서 오직 끝없이 반복되는 이 생사윤회를 벗어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참선은 좌복에 앉아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가고 오고하는 일상생활 가운데에, 각자의 일을 하는 가운데에 ‘부모에게 나기 전에 어떤 것이 참나인가’ 이 화두를 챙기고 의심하고 챙기고 의심하여 하루에도 천번 만번 하다보면 화두가 무르익어 몰록 진의심에 들게 된다.
석일(昔日)에 용아(龍牙) 선사께서 처음 취미(翠微) 선사를 참배하여 물으시기를, 또, 임제(臨濟) 선사의 처소(處所)에 가서 물으시기를, 후일(后日)에 용아 선사께서 주지가 되어 회상(會上)을 여신 때에, 어느 수좌(首座)가 있어 묻기를, 龍牙山裏龍無眼<용아산리용무안>하니 용아산에는 용이 눈이 없음이라. 대중(大衆)은 세 분의 선사를 아시겠습니까? 시자(侍者)야! 세 분의 선사께 차 한잔씩 드려라. 산승이 28세 때에 묘관음사에서 향곡(香谷) 대선사를 모시고 지냈는데, 견처(見處)가 나서 게송을 지어 바침이라. 這箇拄杖幾人會<자개주장기인회>아? 이 주장자를 몇 사람이나 알꼬? 향곡 선사께서 보시고 즉시 물으시기를, 석일(昔日)에 마조(馬祖) 선사 회상(會上)에서 마조 선사께서 법상에 오르시어 법문을 하시기를, 부처님 출세시에 용의 무리들이 모여와서 부처님께 애원하기를, 불(佛) 위신력이여! 개천개지(蓋天蓋地)로다. 부처님의 위대한 법력이여!
|